top of page

39.

홍석호,어유경,장세정,권은주,김순은. (2017). 한국 베이비부머들의 IT에 대한 인식과 유형별 특성: Q 방법론 적용. 노인복지연구, 72(2),371-398.

38.

황선영,김순은. (2017). 도시 지역공동체 활성화 과정에서 지역사회 주민조직의 역할 –아파트 공동체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를 중심으로-. 한국지방자치학회보, 29(2),31-63 .

37.

​박경숙.2017. 서울과 나고야 노인의 생애사와 가족변화-근대가족의 탄생과 종언의 생애사적 자취-. 아시아리뷰, 6(2), 3-47.

36.

박경숙. (2017). 인구학 방법: 인구동태의 측정과 모형. 서울: 서울대학교 출판부

35.

홍덕화. (2017). 방사능 방재 계획의 쟁점과 개선 방향- 재난 취약자 보호조치를 중심으로-.Crisisonomy,13(5),107-122.

34

어유경,김인태,홍석호,김순은. (2017). 사회자본과 건강한 노후- 다층모형(Multilevel Modeling)을 활용한 사회자본의 영향 분석-.한국정책학회보,26(1),125-150.

33.

​김순은. (2017). 고령화에 따른 지방행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. 지방행정연구, 31(1), 3-34.

32.

홍덕화.(2016).사회기술적 조정과 원전 체제의 다양성_원전 산업구조와 규제양식을 중심으로. 서양사연구, 55, 153-190.

31.

한수연.(2016).사회복지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지식 및 임종의료결정 도움 경험 등에 관한 비교 연구 -노인요양병원과 장기요양 입소시설을 중심으로-. 생명연구, 42, 289-329.

30.

한수연.(2016). Social Work Perspective_Comparing Korean Social Workers' Education and Knowledge of Advance Directives. Development and Society, 45(2), 255-274.

29.

서이종. (2016). End-of-Life and Hospice Issues in Korean Aging Society. Development and Society, 45(2), 213-230.

28.

어유경,김순은. (2016).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-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-. 지방행정연구, 30(3), 275-305.

27.

​홍석호,김순은. 2016. 노인의 여가복지시설 이용의 저해요인-지역의 유형화 차이를 중심으로-. 보건사회연구, 36(4), 125-156.

26.

김상원. (2016). 사회자본과 노인문제. Crisisonomy, 12(8), 69-82. 

25.

최지민, 황선영, 김순은. (2016).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제도주의적 분석: B 아파트 2 단지 옥상 텃밭 가꾸기 사례를 중심으로. 지방정부연구, 20(2), 29-54.

24.

Lee, M., Kim, S. E., Choi, J., Kim, S. W., & Kim, H. (2016).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omprehensive ageing problem scale for community-living older adults in South Korea. 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, 24(2), 182-195.

23.

최지민, 김순은. (2016). 사회자본이 노인문제감소에 미치는 효과분석-기초지방정부수준의 사회자본과 노인문제 지수를 활용하여. 한국정책학회보, 25(2), 29-63.

22.

김순은, 최지민. (2016). 한국행정과 사회자본: 지방정부 노인정책에의 시사점. 서울: 조명문화사.

21.

김순은, 권보경. (2016). 도시공동체의 주민자치와 사회자본: 입주자대표회의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. 지방행정연구, 30(1), 41-76.

20.

어유경, 고정은, & 김순은. (2016). 노인의 복지서비스 접근 (access) 에 관한 연구: 우울을 경험한 노인의 복지서비스 접근과정을 중심으로. 노인복지연구,71, 215-250.

19.

Lee, M., & Kim, K. (2016). Older Adults’ Perceptions of Age-friendliness in Busan Metropolitan City. Urban Policy and Research, 1-11.

18.

최지민, 황선영, 김순은. (2015). 사회적 관계망과 고령자의 문제: 성별과 사회관계망 간 상호작용의 정책적 활용. 정책분석평가학회보, 25, 83-115.

17.

김상원. (2015). 사회자본이 노인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. 한국위기관리논집,11(11), 37-54.

16.

이민홍, 고정은. (2015). 사회자본이 노인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. 한국사회복지행정학, 17(3), 85-110.

15.

어유경, 최지민, 김순은. (2015). 서울시 25 개 자치구의노인복지서비스 효율성 평가.한국사회와 행정연구, 26(2), 219-248.

14.

김순은, 최지민, 황선영. (2015). 우리나라 고령자와 고령화 사회의 지역별 특성. 서울: 조명문화사. 

13.

김화환, 이태수, 김종민, 안태후. (2015).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소지역 분류 및 유형화 연구. 국토지리학회지, 49(2), 229-240.

12.

김상원. (2015). 사회자본이 노인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. 한국위기관리논집,11, 137-152.

11.

김순은, 이민홍. (2015). 한국노인이 경험하는 문제 (어려움) 는 무엇인가?: 포괄적 노인문제척도 개발을 중심으로. 정책분석평가학회보, 25, 1-22.

10.

고정은, 이민홍. (2015). 노인의 우울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요인과 지역사회 요인 분석. 가족과 가족치료, 23(2), 363-380.

9.

고정은, 이선혜. (2015).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: 빈곤집단과 비빈곤 집단간 차이 연구. 노인복지연구, 68(단일호), 251-271.

8.

이민홍, 고정은, 김순은. (2015). 기초자치단체 노인문제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. 사회복지정책, 42(2), 113-134.

7.

전소연, & 김순은. (2015). 일반논문: 고령화 대응방안에 대한 인식분석. 행정논총, 53(2), 69-95.

6.

이경은, & 김순은. (2015). 인구고령화가 지방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. 지방행정연구, 29(2), 297-325.

5.

최지민, 이민홍, 김상원, 김화환, 김순은. (2015). 지속가능한 고령자 복지 패러다임의 가능성. 정책분석평가학회보, 25, 245-278.

4.

김상원. (2014). 사회자본과 공중보건의 위기관리. 한국위기관리논집, 10(12), 109-127.

3.

김순은. (2014). 사회적 자본의 관점에서 본 주민자치 시범실시 사례 분석: 역촌동을 중심으로. 지방행정연구, 28(3), 3-34.

2.

최지민, 김순은. (2014). 개인 행복의 영향력을 고려한 정부성과와 정부신뢰에 관한 연구. 한국지방자치학회보, 26(2), 29-57.

1.

최선미, 최지민, 김순은. (2014).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유형과 정책적 시사점. 행정논총, 52(2), 229-256.

Please reload

bottom of page